86 |
이동반복, 동형진행(移動反復, 同型進行, 도.Sequenz, 영.sequence, 앞의 용어들은 라틴어 sequentia로부터 유래, 프. progression 또는 marche harmonique 또는 marche d'harmonie, 이.progressione)같은…
|
85 |
이명동음(異名同音, 편수: 딴이름한소리, 영.enharmonic, 도.Enharmonik)평균율로 이루어진 음조직에서 기보가 달리 되어 있음에도 실제로는 같은 소리인 경우를 말한다. 예: C♭와 B, 또는 D#와 E♭.
|
84 |
이빠진 음계(영. Gapped Scale). 전음계 음계에서 몇 음이 빠진 채 사용된 음계. 온음이나 온음보다 넓은 음정이 포함된 음계. 예) 5음음계.
|
83 |
이암부스(라.iambus) 혹은 이암(영.iamb) 라틴어나 그리스어 등의 고전 시에서 사용된 여섯 가지 전형적인 음보(音步) 중 하나로, 단-장 혹은 약-강의 두 음절로 된 패턴(∪ ―). 중세시대 사용되었던 모드리듬의 두번째 패턴에 상응한다.&n…
|
82 |
저자: 한국음악연구소등록일자 : 초기자료이오니아 선법 [Ionian mode, ionischer Modus, mode ionien, modo ionico]그리스의 이오니아 부족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교회선법. 16세기에야 기존의 교회선법에 첨가되었으며 오늘날 사용되는 …
|
81 |
이중도미난트(도. Doppeldominante)도미난트의 도미난트를 의미한다. 예로서 C장조에서 d-f#-a음으로 이루어진 화성을 말한다. 이것은 중간도미난트의 한 특별한 형태이며, 도미난트를 뜻하는 알파벳 D를 겹쳐서 기호로 표시한다(DD).
|
80 |
이중카논(영. 프. double canon, 도. Doppelkanon, 이 canone doppio)두개의 상이한 멜로디를 가지고 시작하는 카논을 말한다. 이 멜로디들은 이후에 다른 성부들에서 카논적으로 계속 진행한다.
|
79 |
이중푸가(영. 프. double fugue, 도. Doppelfuge, 이. fuga doppia)두개의 상이한 테마가 전개되는 푸가를 일컫는다. 형식상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째는 두개의 테마가 따로 나타났다가 나중에 합쳐져 가공되는 형태를, 둘째는 두개의 …
|
78 |
이테 미사 에스트(라. ite, missa est)라틴어로 ‘해산하시오’란 뜻. 이것은 로마 카톨릭교회 미사의 마지막에 사제가 하는 말로서, 이 문구로부터 ‘미사’라는 명칭이 유래되었다. 원래는 ‘이테 미사 에스트’ 직후에 축복기도가 뒤따랐으나 제2바티칸공의회 이후 이…
|
77 |
인용(引用, 도. Zitat) 음악의 분야에서 <인용>이란 개념은 최근에 나타난 것으로, 아직 그 의미와 영역이 확고하게 이론화 된 상태는 아니다. <인용>이란 보통 학문의 영역에서 많이 사용되는 개념으로, 우리가 논문을 쓸 때 기존의 연…
|
76 |
저자: 한국음악연구소등록일자 : 초기자료인치피트||인키피트 [incipit]라틴어로 ‘시작하다’를 뜻함. 그레고리오 성가에서는 선창자가 노래하기 시작하는 첫머리 부분을 가리킨다. 인토나치오라도 함. 13, 14세기의 정선율(cantus firmus) 모테트에서는 테너성…
|
75 |
임브롤리오(이. imbroglio, 뜻: 뒤얽힘)리듬 박자 선율이 서로 다르게 구성된 다성음악(<돈 죠반니> 1막 피날레 ). 18세기 오페라 부파에서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대표적 오페라 작품들로서는 모짜르트의 <돈 지오반니> 1악장 피날레, 바…
|
74 |
자리바꿈/전위(轉位, 도.Umkehrung, 영.inversion)음들이나 성부진행의 관계를 상하로 바꾸어 놓는 것. 음정의 자리바꿈과 화음의 자리바꿈, 선율의 자리바꿈이 있다. 음정의 자리바꿈은 상하의 두 음 중 한 음이 옥타브 위나 아래로 옮겨진 것을 말한…
|
73 |
장조(영. major, 도. Dur), 단조(영. major, 도. Moll)조성 항목을 보라
|
72 |
조바꿈/전조(轉調, 영. 도. 프. modulation, 이. modulazione)기능화성적인 음악에서 한 조성에서 다른 조성으로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처음의 조성과 나중의 조성은 분명하게 종지를 통해 구분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3가지 종류의 조바꿈이 있는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