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인명
욤멜리 [Jommelli, Niccolò]
5,099회
욤멜리(Niccolò Jommelli, 1714. 9.10. 나폴리 근교 Aversa - 1774.8.25. 나폴리)

977803507_1520493020.2957.jpg


18세기의 이태리 작곡가. 나폴리 오페라 악파의 중요한 작곡가 중 한 사람이다.
1725년 나폴리의 산 오노프리오 음악원(Conservatorio S. Onofrio)에 입학하여 페오(Fr. Feo)와 프로타(Ignazio Prota)에게 공부했고, 1728년에는 역시 나폴리의 피에타 데이 투르키니(Pietà dei Turchini)음악원에 입학하여 파고(N. Fago)에게 배웠다. 그는 바스토 아발로스(Vasto Avalos) 공작의 후원을 받았고, 1736년에는 그의 악대장이 되었다. 1737년 그의 첫 오페라 『사랑의 실수』(L'errore amoroso, )는 가명으로 발표되었는데,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았다. 1738년에는 『오도아르도』(Odoardo)로 일반에게 알려진 작곡가가 되었다. 1740년 그의 두 작품 『리치메로』(Ricimero)와 『아스티아낫테』(Astianatte)가 로마에서 공연되었고, 1741년 『에찌오』(Ezio) 가 볼로냐에서 공연되었다. 볼로냐에서 그는 마르티니 신부(Padre Martini)에게 대위법을 배웠다. 오페라 메로페(Merope, 1741)의 성공으로 베니스 ‘치유불능자 고아원 음악학교’(Ospedaletto degli Incurabili)의 원장으로 임명되었다. 이를 주선한 것은 핫세(J. A. Hasse)였다. 그는 이어서 『세미라미데』(Semiramide, 1743)와 『소포니스바』(Sofonisba, 1746)를 작곡했다. 
1749년 그는 비엔나로 가서 5개의 오페라를 작곡했다. 여기에서 그는 메타스타지오(Pietro Metastasio)와 개인적으로 알게 되어 친구가 된다. 같은 해에 그는 로마의 성 베드로 성당의 음악대의 부책임자가 되었다. 1753년 슈투트가르트의 궁정 카펠마이스터가 되었다. 그는 슈투트가르트 궁정에서 일하면서 프랑스의 오페라를 접촉한 후 합창, 발레, 아리오조적인 장면, 더 세련된 오케스트라 음악을 통해 메타스타지오 방식의 나폴리 오페라를 벗어난다. 이는 대본상 그러한 것이고, 음악적으로는 큰 변화가 없었다. 당시 슈투트가르트에는 뛰어난 연주자들과 성악가들이 있었고,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의 기악을 잘 살릴 수 있었던 큰 규모의 오케스트라가 있었다. 또한 그 곳에는 프랑스 오페라의 발레 안무를 맡았던 노베르(Jean Georges Noverre)가 있었다. 이 시기 이전 욤멜리의 작품들은 나폴리 오페라의 전통을 따르는 것이었다. 로마에서는 『아르타세르세』(Artaserse, 1749), 『아울리데의 이피제니아』(Ifigenia in Aulide, 1751), 『탈레스트리』(Talestri, 1751) 『아틸리오 레골로』(Attilio Regolo, 1753), 슈트트가르트에서는 『페톤테』(Fetonte, 1753과 1768 두 번 작곡됨), 『티토의 관용』(La clemenza di Tito, 1753), 『펠로페』(Pelope, 1755), 『라치오의 에네아』(Enea nel Lacio, 1755)를 썼다. 1769년 그는 나폴리로 되돌아가 『버림받은 아르미다』(Armida abbandonata, 1770)와 『타우리데의 이피제니아』(Ifigenia in Tauride, 1771)를 무대에 올렸으나 청중들의 호응을 얻지 못했다. 그는 실패에 충격받아 심장마비로 죽는다. 그의 『버림받은 아르미다』는 당시 청중들과 다르게 오늘날 그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 작품이다. 많은 전문가들은 이 작품이 가장 성공적인 18세기의 오페라 세리아로 평가한다. 욤멜리는 교회음악도 작곡했는데, 죽기 직전 유명한 『미제레레』(또는 주여 불상히 여기소서 ‘Pietà Signore') 를 작곡했는데, 이는 그의 작품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이다. 
메타스타지오는 욤메리의 기악에 대해 “상상 속의 기악”(immaginato concerto)이라는 칭찬을 남겼다. 오늘날도 그의 오페라 서곡들은 심포니의 역사를 다룰 때 항상 고려되는 음악이다. 그것은 독립적인 심포니로 가는 길목에서 아주 중요한 전환점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물론 그의 신포니아(sinfonia)는 아직 오페라의 서곡이었다. 이점은 오페라와 무관한 독립적인 심포니로 존재하는 삼마르티니(G. B. Sammartini)의 것에 아직 못 이른 것이지만 그의 오페라 서곡이 오페라와 떨어져 기악 자체로 자주 연주되었다. 이는 욤멜리의 음악이 갖는 기악적 의미가 오페라와 무관하게 영향력을 가졌던 것을 의미한다. 그의 기악은 다음의 특징들을 보인다. 
두 마디 단위의 박절적 질서를 잘 지키면서도 기악적 모티브는 규칙성을 벗어나는 의외성을 보이고, 일정한 간격으로 토닉-토닉 또는 토닉-도미난트의 단순한 구성이 많고,  일정한 베이스 선이 마치 타악기로 강조하는 듯한 효과를 주며, 셈여림관계를 이용한 음악의 표현력 확장이 두드러진다. 특히 셈여림관계에서는 ①피아노와 포르테의 직접적 대비, ②크레셴도 효과가 두드러진다.




977803507_1520493055.4398.jpg






977803507_1520493034.0744.jpg



욤멜리의 오케스트라 음악은  만하임 악파에 큰 영향을 끼쳤다. 특히 다양한 셈여림의 유희에서 그러했다. 만하임 악파는 욤멜리의 전형적 크레셴도 음악과 그 표기 방법("crescendo il forte")까지도 도입했다. 만하임 악파의 전형적 특징이라고 하는 것은 사실상 욤멜리의 특징이었던 것이다. 욤멜리의 오페라 서곡들은 18세기 후반 전 유럽에 널리 퍼졌다. 그의 악보들은 필사본으로 또는 악보로 편찬되었다. 그의 『이페르메스트라』서곡과 『에우메네』서곡은 만하임 악파의 요한 슈타미츠의 D장조 심포니의 선율과 구조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W. Hochstein, Mannheimer Stilmerkmalebei Jommelli, →Kolloquium Mannheim und Italien 편찬: R.Wuertz 1984]. 이전의 연구에서는 욤멜리가 슈투트가르트에 있을 때에 만하임 악파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주장되었다. 지금은 그가 슈투트가르트에 살기 이전에 만하임 악파의 사람들이 그의 영향을 받았다고 간주된다.    
욤멜리의 기악은 가수의 목소리를 돋보이게 하는 성악 부분에서도 오케스트라가 그림음악적으로 또는 표현적으로 작용하여 단순한 반주를 넘어선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케스트라를 다루는 일은 그의 동시대 나폴리 오페라 작곡가들과는 상당히 다른 면모이다.

오페라 작품
『사랑의 실수』L'errore amoroso(대본: Antonio Palomba), 오페라 부파 3막 (1737 나폴리) 
『오도아르도』Odoardo, 오페라 부파 3막(1738 나폴리) 
『고티의 왕 리치메로』Ricimero rè de'Goti(대본:A postolo Zeno/Pietro Pariati), 오페라 세리아 3막(1740 로마) 
『아스티낫테』Astianatte(Andromaca) (대본: Antonio Salvi), 오페라 세리아 3막 (1741 로마) 
『에치오』Ezio(Pietro Metastasio), 오페라 세리아 3막, 1차 판본 (1741 볼로냐), 1차 판본(1748 나폴리), 3차 판본(1758 슈투트가르트), 4차 판본(1771 나폴리), 개정판(1772 리스본) 
『메로페』Merope(대본: Zeno), 오페라 세리아 3막 (1741 베니스, Teatro San Giovanni Crisostomo) 
『다시 알아본 세미라미데』Semiramide riconosciuta(대본: Metastasio), 오페라 세리아 3막, 1차 판본(1741 토리노), 2차 판본 1753 Piacenza), 3차 판본(1762 슈투트가르트) 
『돈 키키보』Don Chichibo, intermezzo 2막(1742 로마) 
『에우메네』Eumene(대본: Zeno), 오페라 세리아 3막, 1차 판본(1742 볼로냐), 2차 판본(1747 나폴리) 
『세미라미데』Semiramide(대본: Francesco Silvani), 오페라 세리아 3막(1742 베니스) 
『티토 만리오』Tito Manlio(대본: Gaetano Roccaforte), 오페라 세리아 3막, 1차 판본(1743 토리노), 3차 판본 (1758 슈투트가르트) 
『데모폰테』Demofoonte(Metastasio), 오페라 세리아 3막, 1차판본(1743 파도바), 2차 판본 (1753 밀라노), 3차 판본 (1764 슈투트가르트), 개정판(1775 리스본), 4차 판본 (1770 나폴리) 
『알렉산더 인도로 가다』Alessandro nell'Indie(대본: Metastasio), 오페라 세리아 3막, 1차 판본(1744 Ferrara), 2차 판본 (1760 슈투트가르트), 개정판(1776 리스본) 
『다시 알아본 치로』Ciro riconosciuto(대본: Metastasio), 오페라 세리아 3막, 1차 판본(1744 볼로냐), 2차 판본(1747년경 베니스) 
『카요 마리오』Cajo Mario(대본: Roccaforte), 오페라 세리아 3막, 1차 판본(1746 로마, Teatro Apollo), 2차 판본(1751 볼로냐) 
『소포니스바』Sofonisba(대본: Antonio und Girolamo Zanetti), 오페라 세리아 3막(1746 베니스) 
『안티고노』Antigono(대본: Metastasio), 오페라 세리아 3 막(1746 Lucca) 
『티토 만리오』Tito Manlio(대본: Jacopo Antonio Sanvitale, 원본: Matteo Noris), 오페라 세리아 3막(1746 베니스) 
『버림받은 디도네』Didone abbandonata(대본: Metastasio), 오페라 세리아 3막, 1차 판본(28. Jan. 1747 로마, Teatro Apollo), 2차 판본(1749 비엔나), 3차 판본(1763 슈투트가르트), 개정판(1777-1783 슈투트가르트) 
『가면을 쓴 사랑』L'amore in maschera(대본: Palomba), 오페라 부파3막(1748 나폴리) 
『쉬로의 아킬레스』Achille in Sciro(대본: Metastasio), 오페라 세리아 3막, 1차 판본(1749 비엔나), 2차 판본(1771 로마) 
『아르타세르세』Artaserse(대본: Metastasio), 오페라 세리아 3막, 1차 판본(1749 로마, Teatro Argentina), 2차 판본 1757 로마 
『다시 알아본 치로』Ciro riconosciuto(대본: Metastasio), 오페라 세리아 3막(1749 베니스) 
『데메트리오』Demetrio(대본: Metastasio), 오페라 세리아 3막(1749 Parma) 
La cantata e disfida di Don Trastullo, intermezzo 2막(1749 로마), 개정판(1762 Lucca) 
『이집트의 시저』Cesare in Egitto(대본: Giacomo Francesco Bussani), 오페라 세리아 3막(1751 로마) 
『아울리데의 이피제니아』Ifigenia in Aulide(대본: Mattia Verazi), 오페라 세리아 3막(1751 로마, Teatro Apollo) 
『이페르메스트라』Ipermestra(대본: Metastasio), 오페라 세리아 3막 (1751 Spoleto) 
『귀족 시골처녀』La villana nobile(대본: Palomba), 오페라 부파3막 (1751 Palermo) 
『새잡는 여자』L'uccelatrice(대본: Carlo Goldoni), intermezzo 2막 (1751 베니스, 개작:overro La pipée 1753 Paris) 
『탈레스트리』Talestri(대본: Roccaforte), 오페라 세리아 3막 (1751 로마) 
『실망한 라이벌』I rivali delusi, intermezzo 2막 (1752 로마) 
『아틸로 레골로』Attilio Regolo(대본: Metastasio?, Leopoldo Trapassi?), 오페라 세리아 3막 (1753 로마, Teatro delle Dame), Pasticcio로서 공연(1761 나폴리), 
『광대여인』Bajazette(대본: Agostiono Piovene), 오페라 세리아 3막(1753 토리노) 
『페톤테』Fetonte(대본: Leopoldo de Villati), 오페라 세리아 3막, 1차 판본(1753 슈투트가르트), 2차 판본(대본: M. Verazi) (1768 Schloß Ludwigsburg) 
『티토의 관용』La clemenza di tito(대본: Metastasio), 오페라 세리아 3막, 1. Fasung (1753 슈투트가르트), 2차 판본 (1765 Ludwigsburg), 개정판 (1771 리스본) 
『우티카의 카토네』Catone in Utica(대본: Metastasio), 오페라 세리아 3막 (1754 슈투트가르트) 
『돈 팔코네』Don Falcone, intermezzo 2막 (1754 볼로냐) 
『루치오 베로』Lucio Vero(대본 원본: Zeno), 오페라 세리아 3막 (1754 밀라노) 
『라치오의 에네아』Enea nel Lazio(대본: Verazi), 오페라 세리아 3막(1755 슈투트가르트), 개정판(1767 Salvaterra), 2차 판본(1766 독일 Ludwigsburg) 
『페네로페』Penelope(대본: Verazi), 오페라 세리아 3막(1755 슈투트가르트), 개정판 (1768 Salvaterra) 
『크레조』Creso(대본: Giovacchino Pizzi), 오페라 세리아 3막(1757 로마) 
『테미스토클레』Temistocle(대본: Metastasio), 오페라 세리아 3막, 1차 판본(1757 나폴리), 2차 판본 (1765 Ludwigsburg) 
『엔디미오네 사랑의 승리』Endimione ovvero Il trionfo d'amore (대본: Metastasio), pastorale 2막(1759 슈투트가르트), 개정판(1780 Queluez) 
『니넷티』Nitteti(대본: Metastasio), 오페라 세리아 3 막(1759 슈투트가르트), 개정판(1770 리스본) 
『카요 파브리치오』Cajo Fabrizio(대본: Verazi), 오페라 세리아 3막(1760 만하임) 
『무인도』L'isola disabitata(대본: Metastasio), pastorale 2막(1761 Ludwigsburg), 개정판(1780 Queluez) 
『오림피아데』L'Olimpiade(대본: Metastasio), 오페라 세리아 3막 (11. Febr. 1761 슈투트가르트), 개정판 (1774 리스본) 
『사랑의 승리』Il trionfo da'amore(대본: Giampietro Tagliazucchi), pastorale 1막(1763 Ludwigsburg) 
『귀족 목장아가씨』La pastorella illustre(대본: Giampietro Tagliazucchi), pastorale 2막(1763 슈투트가르트), 개정판(1773 Salvaterra) 
『목자 왕』Il re pastore(대본: Giampietro Tagliazucchi), 오페라 세리아 3막(1764 Ludwigsburg, 개정판 1770 Salvaterra) 
『아테네의 이메네오』Imeneo in Atene(대본 원본: Silvio Stampiglia), pastorale 2막(1765 Ludwigsburg), 개정판 (1773 리스본) (Porpora로 알려짐) 
『경쟁적 결혼』Il matrimonio per concorso(대본: Gaetano Martinelli), 오페라 부파 3막(1766 Ludwigsburg), 개정판 (1770 Salvaterra) 
『비판』La critica(대본: Gaetano Martinelli), scherzo giocoso 1 막(1766 Ludwigsburg), 개작: Il giuco di picchetto, intermezzo (1772 Koblenz), 개작: La conversazione [e] L'accademia di musica, intermezzo 2 막 (1775 Salvaterra) 
Vologeso(대본: Verazi), 오페라 세리아 3 막 (11. Febr. 1766 Ludwigsburg), 개정판(1769 Salvaterra) 
『실망한 사냥꾼』Il cacciatore deluso [ovvero] La Semiramide in benesco(대본: Martinelli), dramma serio-comico‘희비극’ 3막(1767 Tünbingen), 개정판(1771 Salvaterra) 
『해방된 여자노예』La schiava liberata(대본: Martinelli), dramma eroi-comico‘영웅적 희극’ 3막(1768 Ludwigsburg), 개정판(1770 리스본) 
『버림받은 아르미다』Armida abbandonata(대본: Francesco Saverio de' Rogati 토르쿠아토 탓소‘Torquato Tasso’의 해방된 예루살렘 ‘La Gierusalemme Liberata ovvero Il Goffredo’ 의 16과 17번 노래에 의거한 것), 오페라 세리아 3 막, 7장(30. Mai 1770 나폴리, Teatro San Carlo) 
『타우리데의 이피제니아』Ifigenia in Tauride(대본: Verazi), 오페라 세리아 3막(1771 나폴리), 개정판(1776 Salvaterra) 
『사냥꾼 애인』L'amante cacciatore(대본: A. Gatta), intermezzo 2막 (1771 로마) 
Le avventure di Cleonede(대본: Martinelli), dramma serio-comico‘희비극’ 3막 (1771  나폴리), 개정판(1772 리스본) 
『클레이아의 승리』Il trionfo di Clelia(대본: Metastasio), 오페라 세리아 3막(1774 나폴리), 개정판(1774 리스본) 
『그리셀다』La Griselda(대본 원본: Zeno) 
『순례의 여인』La pellegrina, 오페라 부파

참고문헌
Abbiati, Franco:   D'umor concettuoso l'inedito Jommelli, in: La Scala (Milano) Nrt. 6, April 1950, S.33-36 
Abbiati, Franco:    Qui buongustaio l'inedito Jommelli, in: La Scala (Milano) Nr. 7, Mai 1950, S. 31-34 
Abert, Hermann:    Die dramatische Musik, in: Herzog Karl Eugen von Württemberg und seine Zeit, Bd. 1, Esslingen 1907, S. 557-611 
Abert, Hermann:    Niccolò Jommelli als Opernkomponist. Mit einer Biographie, Halle 1908 
Alfieri, Pietro:    Biografiche di Nicolò Jommelli di Aversa nel Regno di Napoli ..., 로마a 1845 
Alfieri, Pietro:    Brevi Notizie Storiche sulla Congregazione ed Accademia ... die Santa Cecilia, 로마a 1845 
Berio, Margherita:    Un centenario silenzioso. Nicola Jommelli, in: Rivista musicale italiana, 22 (1915), 105-112 
Brandt, Johannes:    Nicola Jomelli (Zur 200. Wiederkehr seines Geburtstages), in: Der Merker. Österreichische Zeitschrift für Musik und Theater, 6 (1915) 27-28 
Brofsky, Howard:    Jommelli e Padre Martini. Anedotti e realità di un rapporto, in: Rivista Italiana di Musicologia, 8 (1973) 132-146 
Brosses, C. de:    Lettres historiques et critiques sur l'Italia (Paris, 1799) 
Burney, Charles:    Music, Men, and Manners in France and Italy, 1770. Repr. London 1974 
Burney, Charles:    The Present State of Music in France and Italy (London, 1771, 2/1773); ed. P. Scholes as Dr. Burney's Musical Tours (London, 1959) 
Burney, Charles:    A General History od Music f로마 the Earliest Ages to the Present Period, 4 Bde., London 1776-1789. Repr. Baden-Baden 1958 
Burney, Charles:    Memoirs of the Life and Writings of Metastasio, London 1796 
Carlson, Jon Olaf:    Selected Masses of Niccolò Jommelli, D.M.A. University of Illinois 1974 
Carse, Adam:    The orchestra in the XVIIIth Century, Cambridge, Engl. 1940 
Dahms, Sibylle:    Noverres 슈투트가르트er Ballette und ihre Überlieferung - Das Warschauer Manuskript, in: Musik in Baden-Württemberg, 슈투트가르트 3.1996, S. 197-204 
Downes, Edward O.:    Secco Recitative in Early Classical Opera Seria (1720-80), in: Journal of the American Musicological Society 14 (1961) 59-69 
Etwas über den berühmten italienischen Komponisten Niccolà Jomelli", in: AMZ 4 (Juni 1802) Sp.633-37 
Fauchier-Magnan, Adrien:    Les Petites Cours d'Allemagne au XVIIIeme siècle, Paris 1947 
Fehr, Max:    Zeno, Pergolesi und Jommelli (Der weströmische Feldherr Ricimer im Operntheater), in: Zeitschrft für Musikwissenschaft 1 (1918-19), 281-287 
Girardi, F.:    Della vita, e delle opere di Nicolò Iommelli in relazione con la Musica del suo tempo, in: Gazzetta Musicale di Napoli, Jahrgang 1860/61 (in 4 Folgen) 
Hell, Helmut:    Die neapolitanische Opernsinfonie in der ersten Hälfte des 18. Jahrhunderts, Tutzing 1971 
Hochstein, Wolfgang:    Die Kirchenmusik von Noccolò Jommelli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r liturgisch gebundenen Kompositionen, 2 Bde., Hildesheim 1984 (= Studien zur Musikwissenschaft, Bd. 1) 
Hochstein, Wolfgang:    Jommellis Kirchenkompositionen während seiner 슈투트가르트er Zeit, in: Musik in Baden-Württemberg, 슈투트가르트 3.1996, S. 179-195 
Krauss, Rudolf:    Das 슈투트가르트er Hoftheater von den ältesten Zeiten bis zur Gegenwart, 슈투트가르트 1908 
Mahling, Christoph-Hellmut:    Niccolò Jommelli, Attilio Regolo, in: "Opus musicum" (in Vorbereitung) 
Mattei, Saverio:    Elogio del Jommelli ossia il progresso della poesia a musica teatrale, Colle 1785 
Mattei, Saverio:    Saggio di poesie latine, ed italiane, ii (Napels, 1774), 268 ff 
McClymonds, Marita Petzoldt:    The Evolution of Jommelli's Operatic Style, in: JAMS, 33 (1980), No.2, 326-255 
Mc Clymonds, Marita Petzoldt:    Niccolò Jommelli. The last years, 1769-1774, Ann Arbor 1980 (=Studies in Musicology 23) 
McClymonds, Marita Petzoldt: Jommelli, Verazi und "Vologeso" - Das hochdramatische Ergebnis einer schöpferischen Zusammenarbeit, in: Musik in Baden-Württemberg, 슈투트가르트 3.1996, S. 213-222 
Mondolfi, Anna:    Un presuntio plagio di Jommelli?, in: Gazetta Musicale di Napoli, 1 (1955) 5-11 
Müller, Erich H.:    Niccolò Jommelli, in: Zeitschrift für Musik 82 (1915), Teil II, 323-324 
Pattengale, Robert Richard:    The Cantatas of Niccolò Jommelli. Diss. University of Michigan 1973 
Reutter, Jochen:    Trauersymbolik im Introitus des Requiem, in: Mozart Studien, hrsg. von Manfred Hermann Schmid, Band 7, Tutzing 1997, S. 81-103 
Riedlbauer, Jörg: Zur stilistischen Wechselwirkung zwischen Niccolò Jommelli und Tommaso Trajetta, in: Musik in Baden-Württemberg, 슈투트가르트 3.1996, S. 205-212 
Schreiben über Jommelli's Leichenfeir (aus dem Saggio di poesie latine et italiane etc. di Saverio Mattei, T. II, Napoli 1774), in: Deutsches Museum 1 (1776) 464-475 
Schmid, Manfred Hermann:    Das Requiem von Niccolò Jommelli im württembergischen Hofzeremoniell 1756, in: Musik in Baden-Württemberg, 슈투트가르트 4.1997, S. 11-30 
Schubart, C.:    Ideen zu einer Ästhetik der Tonkunst (Vienna, 1806) 
Sittard, Josef:    Zur Geschichte der Musik und des Theaters am Württembergischen Hofe, 1458-1793, 2 Bde., 슈투트가르트 1890, Repr. Hildesheim 1970 
Sigismondo, G.:    Descrizione della città di Napoli, ii (Napels, 1788). 119 ff 
Stiefel, Eberhard:    "Schöpfer eines ganz neuen Geschmacks". Niccolò Jommelli (1714-1774) — Hofkapellmeister des württembergischen Herzogs Carl Eugen. in: Schlösser Baden-Württemberg, 1999, Heft 1, S.30-33. 
Tolkoff, Audrey Lyn:    The 슈투트가르트 operas of Niccolò Jommelli. Diss. Yale University 1974 
Trevor, Claude:    Nicola Jommelli, in: The Musical Standard, 9 (1917) No. 231, S. 364-365 
Uriot, Joseph:    Beschreibung der Feyerlichkeiten, welche bei Gelegenheit des Geburtstagsfestes ... den 11. und die folgenden Tage des Hornung 1763 angestellet worden, 슈투트가르트 1763 
Vogler, G.:    Betrachtungen der Mannheimer Tonschule, v-vi (1778), 159 ff 
Weber, Klaus Jürgen:    Niccolò Jommelli in 슈투트가르트 und Ludwigsburg, in: Ludwigsburger Schloßfestspiele, Internationale Festspiele Baden-Württemberg. Festspielbuch, 30. Mai bis 20. September 1997, S. 88-89 
Weichlein, William J.:    A comperative study of five settings of Metastasio's libretto La Clemenza di Tito (1734-1791). Diss. University of Michigan 1956 
Weinmann, Karl:    Die Neapolitanische Komponistenschule, in: Musica Sacra, 44 (1911) 222-226 
Yorke-Long, Alan:    Music at Court. Four Eighteen Century Studies, London 1954 
    
등록일자: 2005-09-20
홍정수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