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인명
스트라델라 [Stradella, Alessandro]
3,227회
스트라델라(Alessandro, Stradella, 1644. 10. 1. Nepi - 1682.2.25 Genova)

이태리의 작곡가. 바이올린 주자와 성악가로도 활약했다. 그의 이름은 오늘날 한국에서 주로 이태리 가곡집에 실린 노래들을 통해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그의 작품으로 알려진 ≪주여 불쌍히 여기소서≫(Pietà Signore), ≪만약 나의 한숨이≫(Se i miei sospiri) 와 같은 노래는 그가 작곡한 것이 아니다.
스트라델라는 음악가로서는 드물게 로마의 귀족 가문의 출신이었다. 성악 공부를 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그가 받은 음악교육의 정도는 별로 높은 수준은 아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산 지오반니 디 피오렌티니(San Giovanni di Fiorentini)와 오라토리오 델 산팃시모 크로치핏소(Oratorio del Santissimo Crocifisso) 교회에서 성악가로 일했다. 그가 작곡가로서 활동을 시작한 것은 콜론나(Colonna) 가문의 궁정에서 공연된 오페라를 위해서였는데, 1665년부터였다. 그는 그 이후 오페라와 교회음악을 작곡한 이후 사람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특히 1675년에 쓴 오라토리오 ≪세례 요한≫(S. Giovanni Battista)은 스스로 대표작이라고 말할 정도로 공을 들인 작품이었다. 이 작품으로 인해 그는 교황청의 명예칭호(\"특별 근무원\"cameriere extra)를 얻었다. 많은 여성과도 염문을 뿌렸다. 1669년에는 잠깐 동안 로마를 떠나야 했다. 그가 한 나이 많은 여자로부터 많은 돈을 받고 중매를 섰는데, 치보(Cibo) 추기경은 자신의 조카와 그 여자를 결혼시키려고 했던 스트라델라에 대해 분노하였기에 이를 피하기 위해 로마를 잠시 떠났다. 그는 1671년 로마에 최초로 세워진 오페라 극장을 위한 몇 개의 막간극(intermezzo)과 오페라를 썼다. 그는 그리마니 가문의 딸Ortensia Grimani)을 토리노 납치하였는데, 그 가문의 일꾼들에 의해 크게 상처를 입었다. 그는 상처에서 회복하여 1678년 제노바로 갔고, 거기에 있는 팔코네(Falcone) 극장을 위해 오페라를 썼다. 그의 대표적 오페라 ≪부성애(父性愛)의 힘≫(La forza dell’amor paterno)은 이 때에 작곡된 것이었다. 이 작품 이후 그는 제노바에서 큰 명성을 얻었다. 그는 거기에서 또 여자 문제를 일으켰고, 그 일로 인해 살해당한 것으로 짐작된다. 이러한 생애는 19세기 사람들의 흥미를 자극하여 그에 관한 많은 글들이 나오게 되었다. 그의 생애를 프로토우의 오페라 ≪알렛산드로 스트라델라≫(Alessandro Stradella, 1844)도 이런 환경 가운데서 나왔다.
그는 성악적 선율을 강조하는 그의 음악은 후에 오는 18세기 나폴리 악파의 알렛산드로 스카를랏티에 앞서간 종류의 음악으로 간주된다. 한편 기악적인 면에서는 콘체르토 그롯소를 정착시킨 아르칸젤로 코렐리의 길라잡이로 간주된다. 왜냐하면 그의 음악(성악곡 또는 기악곡)에서 콘체르티노와 콘체르토 그롯소를 나누는 편성을 이미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오페라 ≪부성애의 힘≫La forza dell’amor paterno (1678),
오페라 ≪영웅적 사랑의 경쟁≫ Le gare dell’ amor eroico(1679),
오페라 ≪사랑을 위해 죽노라≫Moro per amore(1681),
오라토리오 ≪에스더≫ Ester (1675),
오라토리오 ≪세례 요한≫ S. Giovanni Battista (1676),
오라토리오 ≪수잔나≫ Susanna,
오라토리오 ≪요한 그리소스토모≫ S. Giovanni Crisostomo.
스트라델라의 작품 중 가장 많은 수는 카타타가 점한다(세속적/종교적 칸타타), 그리고 모테트, 마드리갈, 이중창곡, 마드리갈, 칸쪼넷타, 미사, 기악곡 등도 남겼다.


참고문헌
C. Gianturco: The operas of Alessandro Stradella(1644-1682), Dissertation of University of Oxford, 1970.

[홍정수]


작곡(가)사전 한독음악학회


스트라델라, 알레산드로(Stradella, Alessandro, 1644-1682) 

- 1644년 10월 1일 이탈리아의 비테르보(Vitervo) 인근인 네피(Nepi)에서 출생. 음악가로서는 드물게 아버지 안토니오(Antonio)는 메디치가(家)에 의해 발족한 기사단의 일원이었으며 친족 중에 주교를 배출한 명문 귀족가문 출신임. 볼로냐(Bologna)에서 음악교육을 시작.
- 1653-1660년 아버지의 죽음 이후 엄마와 형 스테파노(Stefano)와 함께 로마에 있는 란테(Lante) 궁전에 수습 기사(騎士)의 신분으로 거주. 이후 대부분 로마에 거주함.
- 1667년 처음으로 오라토리오를 발표하고 작곡가로서 알려짐. 
- 1668년 17C에 가장 자주 연주된 멜라니(J. Melani)의 오페라(대본은 G. F. Apolloni) ≪지렐로≫(Il Girello, 1668)의 서곡을 작곡했다. 이 후 로마에 머무르며 많은 오라토리오와 칸타타를 작곡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성 에스터≫(St. Ester), ≪세례 요한≫(San Giovanni Battista, 1667)이 있음. 
- 1675년 교황 클레멘티 10세가 작곡자로서의 탁월한 능력을 인정했고 잇달아 여왕 크리스티나가 쓴 대본에 세레나타(Serenata) 형식으로 작곡함.
- 1677년 카스트라토 불피오(G. B. Vulpio)와 함께 많은 돈을 받고 중매를 섰다가 추기경의 분노를 사 로마를 떠나 베네치아(Venezia)에 정착. 베네치아에서 코나리니(Conarini)의 정부와 벌인 애정행각이 발각되어 베네치아를 떠나 토리노로 이사. 코나리니의 사주를 받은 살인청부업자의 공격에 거의 사망 직전에 기사회생함.
- 1678년 제노바(Genova)에서 음악 애호가의 도움으로 생계를 유지하며 왕성한 작품 활동을 시작함. ≪아버지의 사랑이 지닌 힘≫(La forza dell’amor paterno, 1678)이 큰 인기를 모아 1678-1679년 시즌 동안에만 15번이나 연주됨. 
- 1679-1670년 영국(1679)과 이탈리아(1680)에서 악보를 출판. 오페라 ≪영웅적 사랑의 경쟁≫(Le gare dell’ amor eroico, 1679)과 작곡자 본인이 스파이 활동을 담은 오페레타 장르로 정의한 ≪죽도록 사랑하여≫(Moro per amore, 1681)를 작곡함.         
- 1682년 비극적 죽음을 맞음(제노바에서 피살), 제노바에 있는 귀족들이 주로 다니는 교회에 묻힘.

  바로크 시기의 가장 중요한 작곡가 중 하나로 콘체르토 그롯소를 코렐리가 먼저 출판한 Op.6 에 앞서 작곡했다고 추정된다. 그는 모두 309개의 작품을 남겼는데, 거기에는 6개의 오페라, 다 수의 칸타타, 오라토리오와 함께 27개의 기악 작품이 있다. 대부분의 기악작품은 교회 소나타 형식이며, 크레셴도(crescendo)를 최초로 고안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작곡가로서 유명하지만 그의 생애 또한 다른 작곡가들이 오페라 소재로 택할 만큼-예를 들어 플로토우(F. v. Flotow)의 오페라 ≪알레산드로 스트라델라≫(Alessandro Stradella, 1844)는 흥미진진한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그의 인생역정이 여성들과의 스캔들을 통해 조명되었다. 
  작곡가는 대위법에 아주 능숙하며 가끔은 예기치 못한 화성진행을 보여준다. 기악곡의 경우 대부분이 교회소나타로서 어떤 악장도 실내소나타의 특징인 춤곡의 명칭을 사용하지는 않지만 한 두 개 정도는 바로크시대의 춤 리듬을 사용하는 특징을 보인다. 교회소나타의 경우 두도막 형식을 선호하며 D장조의 조성이 대부분이다.
  특히 콘체르토 그롯소를 독창적으로 작곡하였는데 성악곡의 반주로 협주곡을 사용하거나 혹은 성악곡의 시작곡으로 신포니아를 쓰는 것 등은 스트라델라가 처음 시도한 것이다. 초기 작품인 바이올린 소나타(Sonata di viole)는 2개의 바이올린과 류트가 같이 연주하는 구성인데 작품들 간의 유사성은 코렐리의 작품(concerto grosso, Op.6, 1714 작곡가 사후에 출판)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추정하게 한다.
  스트라델라는 많은 성악곡을 썼다. 대위법적 기법을 즐겨 사용하는 그의 아리아는 가사의 형식에 맞추어 음악의 형식이 결정된다. 가장 보편적인 형식은 ABB′, AB, 그리고 ABA형식이다. 아리아에 오스티나토를 아주 빈번하게 사용하고 한 섹션에서 한 개의 리듬을 고수하는 경향이 있다. 
  스트라델라의 오라토리오 ≪성 에디타≫(St. Editta)에는 5명의 추상적 등장인물 즉 ‘고귀함(Nobiltà), 겸손(Humiltà), 아름다움(Bellezza), 위대함(Grandezza), 감성(Senso)’ 이 등장한다. ≪수잔나≫(La Susanna, 1681 초연)에서는 카리시미의 오라토리오와 유사하게 해설자(testo)가 등장한다. 작곡가는 반주부분을 아주 다양하게 작곡하는데 ≪성 조반니 크리소스토스≫(St. Giovanni Crisostomo)와 같이 간단한 콘티누오 악기의 반주도 있지만 ≪성 에디타≫와 같이 복잡한 대위법적 앙상블 형태의 반주는 작곡자의 탁월한 대위법 작곡 능력을 짐작케 한다. 
  그가 가장 많은 공헌을 한 장르는 칸타타로 174개의 작품을 남겼다. 그의 칸타타는 비교적 극적 요소가 배제된 것으로 가사는 대부분 묘사적이고 설명적인 요소를 포함한다. 
  이 시대의 다른 작곡가들의 칸타타와 유사하게 독창과 콘티누오 반주의 구성이 대부분이나, 소수의 칸타타는 앙상블 형태의 반주를 채용한다. 이런 작품은 세레나타(Serenata)라 불리우기도 한다. 세레나타인 경우 특정한 이벤트를 기념하기 위해 작곡되는 경우가 많으며, ≪다모네≫(Il Damone), ≪해방된 노예≫(Lo schiavo liberato)가 알려져 있다.
 초기형태의 오페라 부파  ≪사랑에 빠진 사감≫(Il trespolo Tutore, 1679 초연)에서 처음으로 베이스 음역의 성악가가 주요인물이며 동시에 희극적 성격의 인물인 것이 특이하다. 또 스트라델라의 유일한 희극오페라이다. 주인공 트레스폴로의 아리아는 경쾌하고 빠르며 말하는 듯한(patter style) 레치타티보가 주목된다. 가끔 나타나는 가성음역(falsetto) 또한 희극적 분위기를 고양시킨다. 
  후기의 오페라 ≪아버지의 사랑이 지닌 힘≫(La forza dell’amor paterno, 1678 초연), ≪죽도록 사랑하여≫(Moro per amore, 1681)는 작곡가의 원숙한 면모가 드러나는 작품이다. 다카포 아리아가 다수이다. 초기의 오페라와 비교하면 오케스트라 반주가 많이 나타나지만 단순한 콘티누오 아리아도 쓰인다. 특별히 ≪아버지의 사랑이 지닌 힘≫에서는 성악적 기교가 상당히 요구되는 데 콜로라투라적인 부분이 많고 악기와 서로 짧은 구절을 교대로 반복하며 노래한다.
 ≪축복하라 성모 마리아여≫(Ave regina coelorum)는 전통적인 대위법적 작곡기법을 다수 사용하고 칸타타 형식으로 레치타티보와 아리아가 교대로 나타나는 형식을 취한다.
  특이한 점은 수많은 스캔들에도 불구하고 그의 음악에 대한 수요는 끊이지 않고 계속된 것이다. 1682년 스트라델라의 작품은 모데나(Modena)에 있는 도서관에서 분류되어 목록으로 만들어졌다. 이 후 오스트리아 비엔나로 옮겨졌다가 영국의 옥스퍼드와 이탈리아의 토리노로 집결되었다.
   
참고문헌
 
Gianturco, C. The Operas of Alessandro Stradella (1644–1682). diss. U. of Oxford, 1970.
__________. “Music for a Genoese Wedding of 1681.” Music and Letters, lxiii, 1982, pp. 31–43.
__________. Alessandro Stradella (1639–1682): his Life and Music. Oxford, 1994.
__________. “Stradella,  Alessandro.”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2nd ed. London, 2001.
Jander, O.. Alessandro Stradella and his Minor Dramatic Works. diss. Harvard U., 1962. 
__________. “Concerto Grosso Instrumentation in Rome in the 1660s and 1670s.” Journal of the American Musicological Society, xxi (1968), pp. 168–180.  

등록일자: 2010.3.19
[장영심]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