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음악이론용어
계이름/음계||스케일 [Tonleiter, Tonskala, gamme, scale, scala]
5,526회
계이름/음계(音階, 도.Tonleiter 또는 Tonskala, 프. gamme, 영. scale, 이. scala)

음조직(또는 음체계)은 옥타브 안에서 나타나는 체계화된 모든 음들을 뜻한다. 이것은 전통적인 서양음악과 동양음악의 이론에서 12개의 반음을 뜻한다. 그러나 이 12개의 반음들은 -무조음악 이외의 경우에는- 실제의 음악에서 음계로 정리되어 사용되지 않는다. 이 12개의 음들은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재료적인 의미만을 지닌다는 뜻에서 <재료음계>, 또는 반음의 연속이라는 의미로 <반음계>라 불린다. 반면에 실제로 사용되는 음계는 12음 중에서 다시 골라내는데, 이를 <사용음계>라 이름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음계>라고 말하는 것은 바로 이 <사용음계>를 가리킨다. 재료음계로부터 다섯 개만 골라내어 음계를 만든 것은 <5음음계>라 불린다. 오음음계라 해도 모두가 같은 것이 아니라 음정의 구성상 갖가지의 것이 있다. 이는 일곱 개의 음으로 구성된 <칠음음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서양의 음악이론은 그리스 음악이론 이후 7음으로 구성된 음계를 "전음계"(全音階)라 부른다. 이는 빠진 음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7음음계는 교회 선법의 것과 장단조의 것이 다르다. 


977803507_1519710821.4641.jpg


19세기 이후 가장 흔하게 쓰이는 음계는 장조와 단조의 음계이다. 이렇게 &lt;음계&gt;가 두 개로 단순화 된 것은 화성이 장단조로 단순화된 것과 관계가 깊다. 장조냐 단조냐는 어떤 구성음으로 음계가 짜여져 있느냐에 달려 있지 않고, 어떤 음이 바탕음이냐에 따라 달라진다. 이 바탕음의 위치에 따라 각각 장3도와 단3도가 강하게 의식되는 장조음계와 단조음계로 나뉜다. 단조는 구성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1 자연단음계, 2 가락단음계, 3 화성단음계). 


 977803507_1519710829.9925.gif

한국에서는 조선조 초기의 5음음계가 두 개의 음계(당시에는 조'調'라는 용어를 썼다)가 널리 쓰였고, 아직도 상당수의 전통 음악들이 이 음계의 특징을 보여준다. 이는 곧 평조(平調)와 계면조(界面調)이다. 하지만 계면조라 불리는 것은 반드시 조선조 초기의 것과 일치하지 않는다. 여기에 관한 설득력 있는 이론적 정리가 아직 없는 것으로 보인다. 

977803507_1519710843.8671.jpg


20세기 음악은 여러 가지 다양한 음계를 조립하여 만들어 내거나(예:온음음계) 민속적인 음악들은 나름대로의 독특한 음계를 갖고 있다. 


977803507_1519710852.0195.gi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