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625개. 231 페이지
찬송가(영. hymn)예배시에 회중 전체에 의해 불리는 교회노래. 16세기 초 개신교가 발생하면서 함께 나타났다. 회중 전체에 의해 불리는 일반적 성격의 '노래'는 개신교 이전의 기독교에서는 예배에 허락되지 않았다. 이 노래들은 보통 누구나 부를 수 있는 음역을 가지고…
찬송으로 보답할 수 없는(새49 통43)Glory to God, Hallelujah작사 : 화니 제인 크로스비(Fanny Jane Crosby 1820-1915)작곡 : 윌리엄 제임스 커크패트릭(William James Kirkpatrick, 1838-1921)화니 제…
저자: 나진규등록일자: 2007-01-31찬송을 받으소서 예수 그리스도여, 바흐 BWV 604[Bach: Gelobet seist du, Jesu Christ, BWV 604]이 곡은 오르간 소책자(Das Orgelbüchlein)의 여섯 번째 곡이다. 해당 코랄은 루…
저자: 나진규등록일자: 2007-10-13찬송을 받으소서, 예수 그리스도여, 바흐 BWV 697[Bach: Gelobet seist du, Jesu Christ, BWV 697]이 곡은 개별적으로 전해진 바흐의 코랄편곡으로서, 위에 언급된 코랄에 기초한다. 이 코랄은 …
저자: 나진규등록일자: 2007-10-13찬송을 받으소서, 예수 그리스도여, 바흐 BWV 722[Bach: Gelobet seist du, Jesu Christ, BWV 722]이 곡은 개별적으로 전해진 바흐의 코랄편곡으로서, 위에 언급된 코랄에 기초한다. 이 코랄은 …
찬송하는 소리 있어(새19 통44)Hark, ten thousand harps and voices작사 : 토마스 켈리(Thomas Kelly, 1769-1855)작곡 : 로웰 메이슨(Lowell Mason, 1792-1872)이 찬송시는 아일랜드의 대표적 찬송가 작가 …
찬양 성부 성자 성령(새2 통6)To Father, Son and Holy Ghost 작사 : 전래 송영작곡 : 토마스 헤스팅스(Thomas Hastings, 1784~1872)작곡자 토마스 헤스팅스는 1784년 10월 15일 코넥티커트주(Connecticut…
찬양하라 복되신 구세주 예수(새31 통46)Praise Him, Praise Him작사 : 화니 제인 크로스비(Fanny Jane Crosby, 1820-1915)작곡 : 체스터 알렌(Chester G. Allen, 1838-1878)이 찬송은 생키(Sankey)가 “…
참 놀랍도다 주 크신 이름(새34 통45)Ye servants of God작사 : 찰스 웨슬리(Charles Wesley, 1707-1788)작곡 : 윌리엄 크로포트(William Croft, 1678-1729)이 곡은 찰스 웨슬리 목사의 6500편의 찬송 시 중에 가…
참 목자 우리 주(통103) Shepherd of eager youth 작사 :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Clement of Alexandria, 2세기 경) 작곡 : 에드워드 버넷(Edward Bunnett, 1834~1923) 지중해 연안 아프리카에 위치한…
참 반가운 신도여(새122 통122) O come, all ye faithful 작사: 1751년 웨이드(J. F. Wade)의 저서 “각종 성가집(Cantus Diversi)\"에서 처음 등장함. 작곡: 사무엘 웨브(Samuel Webbe, 1740~1816)…
참 아름다워라(새478 통78)This is my Father’s world작사 : 몰트비 데이븐포트 뱁콕(Maltbie Davenport Babcock, 1858-1901)작곡 : 프랭클린 로렌스 쉐퍼드(Franklin Lawrence Sheppard, 1852-19…
참 즐거운 노래를(새482 통49)Sing on, ye joyful pilgrims작사 : 캐리 M. 윌슨(Carrie M. Wilson, 화니 제인 크로스비의 예명)작곡 : 존 R. 스웨니(John R. Sweney, 1837-1899)이 복음찬송가는 화니 제인 크로…
저자: 한국음악연구소등록일자 : 초기자료참폰냐 [zampogna]이태리 남부의 백파이프로서, 이중떨혀로 이루어진 선율파이프 두개와 보르둔파이프 두개로 되어 있다. 참포냐는 목동악기로서 참폰냐리(zampognari, 참폰냐 연주자)에 의해 샬마이와 함께 연주되는 경우가 …
창가(唱歌)일본 음악 용어 唱歌에서 유래한, 부르는 노래의 뜻을 가진 창가는, 1896년부터 1920년 사이에 전해진 서양 노래 및 서양 노래 식으로 작곡된 모든 노래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찬송가, 군가, 애국가 그리고 대부분의 창작 성악곡 등이 여기에 속한다.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