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625개. 240 페이지
칸투스 피구라투스(cantus figuratus)칸투스 멘수라빌리스( cantus mensurabilis) 참조.
칸투스 피구라투스/ 무지카 피구라타(라.Cantus figuratus/Cantus figuralis 또는 musica figurata/musica figurativa/musica figuralis, 도.Figuralmusik) (1) 15세기 이후  …
cantus firmus, c.f.(라. 칸투스 피르무스). 고정선율. 다성음악의 작곡을 위해 미리 주어지는 선율. 중심선율. 중세 및 초기 르네상스 시대의 대위법 음악에서 이 선율은 자주 다른 작품에서 가져다 사용하였다. 이 성부에 대응하여 다른 성부에 만들어지는 선…
칸티가(스. cantiga, "노래"라는 의미)13세기 이후 르네쌍스 때까지 스페인에서 불린 단선율 노래. 라틴어가 아닌, 자국어로 불렸다. 가사는 마리아를 찬양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이 말은 라틴어 canticum 또는 carmen과 같은 의미로 쓰인 경우도 많다…
칸티쿰, 캔티클(라.canticum, 의미:"노래", 영.canticle)초기 기독교에서 사용하던 성경에 나오는 노래말. 여기에 시편는 제외된다. 가끔 테데움을 칸티쿰으로 부르는 경우도 간혹 있다. 동방교회는 카논이라는 이름으로 9개의 칸티쿰을 사용했다.카논의…
칸티키안도(이.canticchiando)떨리는 소리로 노래하다, 트릴로 노래하다.
저자: 한국음악연구소등록일자 : 초기자료칸틸라치온 [kantillation]유대교 회당에서 성경봉독을 위해 사용된 솔로적 낭송창을 일컫는 명칭. 중심적인 낭독음이 있고, 이 낭독음은 음높이를 달리하는 주변음들에 둘러싸이는 일이 흔하다. 프레이즈의 처음과 중간, 그리고 …
칸틸레나(라. cantilena, 도. Kantilene)1. 흔히 성악 또는 기악에서의 서정적인 선율을 뜻한다. 대부분 여유 있는 템포로 연주된다. 17세기 말 이후에는 일반적 노래들이 ‘칸틸레나’라 불렸다.2. 중세에는 ‘칸틸레나’(cantilena)란 말과 함께 …
칸틸레나 형식(도. Kantilenensatz)음악학에서 ‘칸틸레나’의 명칭과 연관시켜 사용하는 것으로서, 14-15세기에 유행했던 세속적인 다성부 노래의 악곡구조를 일컫는다. 즉, 노래로 불려지는 하나의 상성부(cantus)에 1-3개의 악기들이 반주하는 형태를 가리…
칼다라(Antonio Caldara, 1670 베니스 - 1736  비엔나)이태리 작곡가, 베니스의 성 마르코 성당의 G. 레그렌치 밑에서 소년 성가대로 일하면서 작곡, 비올라 다 감바, 첼로, 건반악기를 배움, 1699-1707년 만투아의 공작의 악장으로 일…
caldamente (이. 칼다멘테)따뜻하게
caldo (이. 칼도)따뜻한
칼라무스(라. calamus, 그. kalamos, 프. chalumus, 영. shawn, 도. Schalmei, 이. ciaramelle). 옛 목관 악기. <갈대의 줄기>라는 뜻에서 비롯된 말로서 넓은 뜻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범위는 …
calando(이. 칼란도). 차분하게, 템포와 강도를 점점 느리고 약하게
calante(이. 칼란테)점점 느리고 약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