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음악연구/음악학
음악사회학 [Musiksoziologie, music sociology]
3,899회
저자: 한국음악연구소

음악사회학(도. Musiksoziologie, 영.music sociology)

전통적 미학에서는 음악이 개인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으로 보는 경향이 주도적이고, 그것이 듣는 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다루었다. 즉 표현된 음악이 아름다움과 같은 감성적 문제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윤리적으로 사회에 도움이 되느냐 피해가 되느냐 하는 것을 문제 삼는 경우가 많았다. 이 때에 사회적 여건은 음악의 방향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를 거꾸로 생각해 보는 것이 음악사회학이다. 즉 사회적 관점에서 음악을 본다. 따라서 음악은 감정의 표현이 아니라, 사회를 반영하는 거울로서 생각된다. 따라서 지금까지 애매한 면이 많은 미학적 또는 심리학적 방향의 연구와는 다르게 상당히 객관적인 언급을 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을 가지고 음악사회학이 연구되어 왔다. 
음악과 사회의 관련적 연구는 작곡가, 연주가, 이론가, 합주단, 합창단, 청중, 음악 후원자, 작품, 악기, 출판사, 악보, 음반, 음반회사, 음악 종류(예: 대중음악/고전음악) 등을 사회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사회적 해석에는 동기, 목적, 작용, 영향, 관련성 등을 같이 살피면서 다루어진다. 그리고 음악계층적인 면(아마추어/의존적 직업음악가/독립적 직업음악가), 사회계층적인 면, 경제적인 면, 문화적인 면이 관심 있게 다루어진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즉 음악사회학의 출발 전에 음악의 사회적 관련성을 다룬 사람들이 더러 있었다. 예를 들어 이태리의 짐멜(G. Simmel. psychologische und ethnologische Studien  über Musik, 1882), 카푸치노(G. Capuccino, L'arte della musica e sociologia, 1895), 베커(P. Bekker, Das duetsche Musikleben, 1916) 등을 들 수 있다. 
음악사회학을 출발시킨 사람은 일반적으로 막스 베버(Max Weber 1874-1920)라고 인정된다. 그는 경제학자이자 사회학자였으며 그의 사회학적, 경제학적, 종교학적 관심이 음악에까지 연결된 결과로 음악사회학이 탄생한다. 유고로 남겨진 그의 미완성 논문 {음악의 합리적,사회적 기초}(Die rationalen und soziologischen Grundlagen der Musik, 1921-22)는 경제와 사회(Wirtschaft und Gesellschaft)라는 책의 부록으로 발표되었으며, 음악사회학의 본격적 출발을 뜻한다. 그는 이 논문에서 음조직, 음계, 국가적 문화권, 악기의 발달 등을 분석한다. 그는 서양음악의 발전과정에서 합리적으로 만들기(Rationalisierung)가 두드러지는 형상을 지적하고, 이러한 합리적 성향이 경제적, 사회적, 기술적 발전과정에 관계가 있는 것을 밝힌다. 따라서 서양음악이 다른 문화권의 음악과는 달리 그 합리성으로 구분이 된다는 것이다. 그의 생각은 당시에 활발하게 일어났던 비교음악학(호른보스텔/작스)의 성과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그러니까 그의 학문적 작업은 서양과 다른 문화들 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생각한 것이다. 그의 연구 이후 음악사회학은 확산의 길을 걷는다. 
실버만 같은 사람은 음악사회학이 문화사회학일 것을 주장하여 음악이 인간에 미치는 작용에 관해서만 학문의 대상으로 삼고, 음악 자체는 음악사, 음악이론, 음악해석학 등에 맡겨야한다고 주장하였다(A. Silbermann. Introduction  à  une sociologie de la musique, 1950). 이는 사회 구조 안에서의 음악과 관련된 측면들을 다루는 것이다. 하지만 아도르노는 음악이 없는 음악사회학에 대해 별로 좋은 평가를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의 음악사회학은 음악의 모습을 통한 사회비판이 주된 관심사이고, 비판의 열쇠를 제공하는 것이 음악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음악사회학자들의 다양한 관심들은 다양한 방법들을 사용하게 
하기 때문에 음악사회학은 상당히 여러 가지 방식으로 나타난다. 또한 음악사회학의 기술 방법은 에세이적인 것, 통계적인 것, 관찰적인 것, 경험적인 것 등이 있다. 하지만 표준적이라고 인정되는 음악사회학의 방법은 아직 형성되지 못한 것으로 여겨진다.
음악사회학의 영향으로 최근의 음악사는 상당한 정도로 사회적인 측면을 같이 다루고 있다. 예를 들어 중세에는 일정한 음악가 그룹이 조합을 이루어 자신들의 경제적 이익을 지키려 했다든지, 19세기에 베토벤이 -궁정의 하인으로 살아가던 그 이전 음악가들과는 다르게- 어느 사회조직에도 의존적이지 않은 음악가가 되었다든지 하는 것들이다. 
한편으로 최근에 흔히 보는 연구 경향으로 대중음악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이다. 이 분야는 예를 들어 '대중 스타의 이미지 만들기 작업'을 연구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대중스타는 외부적으로 드러나는 일거수일투족을 이미지 형성을 위한 세밀한 계획에 의해 진행한다. 어떤 외모, 복장, 몸짓, 발언, 음악종류 등을 일정한 방식으로 유형화하여 목표 그룹의 취향과 맞춘다. 그리고 장애인 돕기, 어린이 돕기 등 윤리적 가치가 있는 일을 하는 것이다. 왜 이런 일을 하는가에 대한 해답은 자명하다: "경제적 이윤". 이는 음악분야가 아닌, 일반 기업에도 그대로 해당될 수 있는 연구방식이다.  이런 연구는 표면적으로 보아 마케팅 연구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지만,  연구 자체로 상당히 비판적이라는 것이 다른 점이다.  

참고문헌: 
E. Siegmeister, Musik und Gesellschaft, 1948
E. H. Meyer, Musik im Zeitgeschehen, 1951
K. Blaukopf, Musiksoziologie, 1952
H. Engel, Musik und Gesellschaft, Bausteine zu einer Musiksoziologie, 1960
Th. W. Adorno, Einleitung in die Musiksoziologie, 1962
T. Kneif, Musiksoziologie, 1971
P. Rummenhöller, Einführung in die Musiksoziologie, 1978; 
E. Haselauer, Handbuch der Musiksoziologie, 1980.
Ch. Kaden, Musiksoziologie, 1984.
Ch. Caden: Des Lebens wilder Kreis - Musik im Zivilasationsprozeß, Kassel, 1993
Ch. Caden, Das Unerhörte und das Unerhörbare, Kassel, 2004

김진현: 쿠르트 블라우코프 음악사회학 연구, 낭만음악 27호 1995 여름, 147-176.
뢰써(Arthur Loesser): 김경임 역, 피아노와 사회, 계명대학교 출판부, 1998. 
민은기: 인쇄술의 발달이 16세기 서양음악사회에 미친 영향, 음악과 민족 제28호, 2004,383-427.
베버(Max Weber): 이건용 역, 음악사회학,  민음사, 1993. 
세퍼드(John Shepherd), 이미배 역, 음악사회학,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2nd ed. 2001 중에서 번역한 것, 낭만음악 58호, 2003 봄, 227-254.
실버만(Alphons Silbermann): 음악사회학, 예솔, 1997. 
아도르노(Theodor W. Adorno): 음악사회학 , 권혁면 역, 문학과비평사, 1989. 
아도르노(Theodor W. Adorno): 음악사회학입문 , 김방현 역, 삼호출판사, 1990.     
이경희: 18-19세기 공공 음악회의 발전과정: 빠리, 런던, 비엔나를 중심으로, 서양음악학 제8호, 2005, 241-264.
이경희: 18-19세기 음악청중과정에서 중간계급의 역할, 음악과 민족 제29호, 2005, 185-208.
이경희: 서양 음악사 속의 음악가의 역할과 사회적 위상 변화, 음악과 민족 28호, 2004, 341-382.
이장직: 音樂의 社會史 , 전예원, 1986. 
크나이프(Kneif, Tibor): 티보르 크나이프의 음악사회학 강의,  한독음악학회 편, 세종출판사, 1999.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