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인명
퍼셀, 헨리 [Purcell, Henry]
4,759회

작곡(가)사전 한독음악학회



퍼셀, 헨리(Purcell, Henry, 1659-1695)


977803507_1519272636.5149.jpg


- 1659년 영국 런던에서 출생.

- 1668/1669년경 왕실 채플 소년성가대 단원으로 활동. 이 시기에 이탈리아풍의 가수인 성가대장 쿠크(Cooke)와 프랑스에서 공부한 험프리(P. Humfrey)로부터 기본즈(O. Gibbons)나 버드(W. Byrd)의 작품 등을 배우며 새로운 음악을 익힘.

- 1673년 블로우(J. Blow)에게 작곡을 배움. 왕실 악기 조율사로 일함.

- 1674년 웨스트민스터 대성당(Westminster Abbey)의 오르간 조율사로 임명됨.

- 1677년 왕실 현악단의 상임 작곡가로 임명됨.

- 1679년 블로우 대신 웨스트민스터 대성당의 오르가니스트로 임명됨.

- 1680년 첫 번째 극음악 ≪테오도시우스≫(Theodosius)를 작곡함.

- 1682년 왕실 예배당의 오르가니스트로 임명됨.

- 1685년 제임스 2세(James II)의 쳄발로주자로 임명됨.

- 1688년 궁정작곡과 극음악 작곡가로 활동, 찰스 2세(Charles II)의 런던 귀환 축하음악 ≪환영가≫(welcomsong) 작곡.

- 1689년 유일한 오페라인 ≪디도와 에네아스≫(Dido and Aeneas)를 작곡함.

- 1690년 이후 극음악(부수음악)에 대한 열정으로 약 40여곡 작곡.

- 1694년 메리(Mary)여왕의 장례식 앤덤 ≪주님이 우리 마음의 비밀을 아시나니≫(Thou knowest, Lord the secrets of our hearts)를 작곡함.

- 1695년 11월 21일 36세의 나이로 사망.국장으로 웨스트민스터 교회에 묻힘.


퍼셀은 17세기 영국의 위대한 작곡가 중의 한 사람이다. 그의 현존하는 초기 작품들로는 현을 위한 판타지아, 도시트 가든(Doset Garden) 극장을 위한 세미오페라 ≪테오도시우스≫와 찰스 2세의 런던 귀환을 축하하는 첫 ≪환영가≫가 있다. 그리고 주요 기악곡에 3-5줄 감바를 위한 13곡의 판타지와 22곡의 트리오소나타(22세), 8곡의 쳄발로 모음곡, 5곡의 오르간 곡이 있으며, 성악곡에는 65개의 앤덤(anthem)과 24개의 송가(Ode), 그리고 150개 이상의 세속 가곡 등이 있다.

퍼셀은 1682년 왕실 예배당의 오르가니스트로 임명되면서 수많은 앤덤을 작곡하기 시작하였다. 1683년 찰스 2세를 위한 ≪3성부 소나타≫(Sonata for 3)를 출판하였고, 영국 국교회 음악 중 중요한 장르였던 앤덤을 69곡을 작곡하였는데, 그중 대부분은 버스앤덤(verse anthem)이며, 만년의 앤덤은 교회칸타타와 흡사하다. 그가 버스앤덤을 즐겨 사용한 이유는 영국궁정에서 인기를 누리던 연극적 부수음악이 교회음악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독창선율에서의 우아한 독주와 합창의 울림이 조화를 이루며 전통적 교회음악의 틀을 벗어나 새로운 시대의 초래를 예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퍼셀은 앤덤을 칸타타와 동등한 위치로 상승시킨 대표적 작곡가이기도 하다. 1683년 작곡된 ≪성 세실리아의 날을 기념하는 송가≫(Ode for St. Cecilia’s Day)는 헨델이 작곡한 동명의 송가와 함께 유명한 작품으로 손꼽힌다. 12곡의 트리오소나타도 같은 해에 쓰여졌는데, 이들은 보통 2개의 바이올린과 계속저음 악기(첼로나 오르간)로 연주된다.

1685년 제임스 2세의 대관식을 위한 아름다운 앤덤 ≪내 마음이 주님을 즐거워하고≫(My heart is inditing)는 독창과 8성부 합창, 현악합주로 된 걸작으로 그의 창작 기법을 발휘한 작품이다. 그 해 연말에는 왕실의 전속작곡가로 취임하면서 예배에 필요한 음악과 환영가, 송가, 시민의 음악적 모임을 위한 캐치(catch)나 글리(glee: 18세기 영국 합창형식의 하나로 무반주의 남성합창이나 중창 소곡) 등을 다수 작곡하였다.

1689년 초연된 그의 유일한 명곡 오페라 ≪디도와 에네아스≫(Dido and Aeneas, 1689)는 우화와 신화가 소재로 사용되었고 음악과 대사, 춤이 어우러지는 마스크(Masque)형식을 띠고 있다. 대본은 테이트(N. Tate)가 로마 시인 버질(Vergil)의 대서사시『에네아스』(Aeneis) 제4권을 기초로 한 것이다. 퍼셀은 자신의 스승이었던 블로우의 ≪비너스와 아도니스≫(Venus and Adonis)모델을 충실히 따랐다. 이 모델을 따라 퍼셀은 ≪디도와 에네아스≫를 프롤로그와 3막으로 구성했다. 이 작품은 내용적으로도 비극적 사랑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으며, 무용과 합창이 중요하게 부각된 점도 스승의 것과 비슷하다. 무용이 많은 것은 륄리의 발레 음악과 영국의 가면극 전통과 관련이 있다. 반음계적으로 진행하는 디도의 유명한 1막 아리아 <아! 벨린다>(Ah! Belinda)는 1698년 처음으로 인쇄된 아리아이며, 이탈리아의 라멘토(lamento)의 전통을 따르면서 자유롭고 표현력이 강하게 드러나는 특징을 담고 있다. ≪디도와 에네아스≫의 원작은 전해지지 않고 최초로 출판된 때는 1841년이며, 현재 덴트(E. J. Dent)의 판본(1925)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현재 전해지는 것은 한 시간짜리 작은 오페라이지만, 본래의 규모는 17개 정도의 긴 발레로 좀 더 큰 음악극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이외의 작품으로는 1690년부터 1695년 사망할 때까지의 대작인 43여 편의 부수음악과 5개의 세미오페라가 있다. ≪디오크리자안≫(Dioclesian, 1690), ≪아더 왕≫(King Arthur, 1691), ≪요정의 여왕≫(The Fairy Queen, 1692), ≪인도의 여왕≫(The Indian Queen, 1692), ≪템페스트≫(The tempest, 1695?)가 그것이다. 1694년 메리여왕의 장례에 즈음하여 앤덤 ≪주님이 우리 마음의 비밀을 아시나니≫(Thou knowest, Lord the secrets of our hearts)가 작곡되었다. 바로크 시대의 바흐나 헨델에 비하면 그 이름은 그늘에 가리어져 있으나, 당대의 흐름을 자신의 독특한 스타일로 화합하여 ‘시대를 초월한 영원한 작곡가’로, ‘영국의 오르페우스’ ‘영국의 모차르트’, ‘작곡의 아버지’로 불리기도 했다. 퍼셀은 스스로 오페라에 직접 출연한 배우이기도 하다.

퍼셀 음악은 부수음악과 앤덤의 부분에서 이탈리아의 영향을 받아 화성적으로 밝고 영국적 민족색채도 가미되어 정교한 감정묘사를 능숙하게 처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가사와 음악의 악센트의 긴밀한 조화와 규칙에 얽매이지 않는 넓은 도약과 표현적 불협화음, 홀수 마디로 된 주제, 불규칙한 선율, 부점 리듬 등을 사용한 것도 특징이다. 그는 영국적 음악을 확립하기 위해 이탈리아어를 의도적으로 한 단어도 사용하지 않았으며, 비록 이탈리아 오페라에 밀려 그의 오페라가 뒤쳐진 감이 없진 않으나 영국 오페라사에 있어서 진정 기념비적인 것이다.

퍼셀은 36세의 이른 나이에 세상을 떠난 불운의 작곡가이지만, 짧은 생애에 비해 그의 작품은 방대하여 25권의 전집으로 악보가 출판되었다.


참고문헌


김용환.


『19세기음악』. 음악세계, 2005.

홍정수, 김미옥, 오희숙. 『두길 서양음악사 2』. 나남출판사, 2006.

Baker’s Biographical Dictionary of Musicians. Nicolas Slonimsky Editor Emeritus, Laura Kuhn Advisory Editor, vol. 5., Schirmer Books, 2001, pp. 2889-2890.

Biancolli, Louis. The Opera Reader. Greenwood Press, Westport, 1953.

Bianconi, Lorenz u. Giorgio Postelli. “Die Produktion: Strucktur und Arbeitsbereiche.” in Geschichte der italienischen Oper, Band 4, Laaber, 1990.

Clement, Catherine. Die Frau in der Oper. München, Bärenreiter, 1994.

Finscher, Ludwig. “Opera” in Die Musik in Geschichte und Gegenwart Sachteil 7, Bärenreiter Kassel, Basel, 1997, pp. 635-641.

Gurlitt, Wilibald. hrsg. Riemann, Musik Lexikon. Personenteil, Bd. 2, B. Schott’s Söhne, Mainz, 1959, pp. 448-449.

Kimball, Carol. 채은희 역, Song. 형설, 2003.

Kuhn, Laura. Baker’s Dictionary of Opera. Schirmer Books, New York, 2000.

Marco, Guy A. Opera, A Research and Information Guide. Garland Publ., New York and London, 1984.

Mauser, Siegfried/ Leuchtmann, Horst. “Messe und Motette” in Handbuch der musikalischen Gattungen, hrsg. von Siegfried Mauser, Bd. 9, Laaber Verlag, 2002, pp. 279-294.

Mauer, Siegfried. ed. “Das Konzert.” in Handbuch der musikalischen Gattungen, Bd. 4, Laaber Verlag, 2002.

Michels, U. dtv-Atlas zur Musik. Tafeln und Texte, München-Kassel, 1985.

Moore, Robert Etheridge. Henry Purcell & the Restoration Theatre. London: Heidemann, 1961.

Moser, Hans Joachim. Musikgeschichte. Stuttgart, Kaiser Verlag, 1958.

Parker, Roger. The Oxford History of Opera.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Sadie, Stanley ed. The New Grove Dictionary of Opera. vol. 3, R. R. Donnelly & Company, 1992.

Sadie, Stanley ed.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 2nd Edition, vol. 20, London, New York, 2001, pp. 604-630.

Schumann, Otto. Opernführer. Wilhelmshaven, Heinrichshofen’s Verlag, 1978.

Schmierer, Elisabeth. ed. Lexikon der Oper. Laaber, Laaber Verlag, 2002.

Valentin, Erich u. Hofmann, Friedrich. ed. Die evangelische Kirchenmusik, Gustav Bosse Verlag, Regensburg, 1967.

Weber, Horst. Komponisten Lexikon. Verlag J. B. Metzler, Bärenreiter, Stuttgart, Weimar, 2003.

Werner-Jensen, Arnold/ Josef Ratte, Franz/ Ernst, Manfred. 이수영 역, 『음악의 역사』. 예경, 2006.

Wörner, Karl H. Geschichte der Musik. Vandenhoeck & Ruprecht in Göttingen, 1993.


등록일자: 2010.1.4.

[이화병]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