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625개. 48 페이지
디아펜테(그. diapente) 를 뜻함. 그리스 음악이론에서 비롯되었으나 중세와 르네상스의 많은 음악이론가들 역시 이 명칭을 사용하였다. 에피디아펜테(epidiapente)는 , 섭디아펜테(subdiapente) 혹은 히포디아펜테(hypodiapente)는 를…
디아포니아(그. diaphonia) (1) 고대 그리스 음악이론에서 “따로”(dia) “소리나다”(phonia)를 의미하는 말로 <불협화음정>을 뜻한다. 반대말은 “함께”(sym)“소리나다”(phonia)의 의미를 가진 심포니아(sym…
저자: 한국음악연구소등록일자 : 초기자료디알로그 [Dialogue]디알로그(도. Dialogue, 대화음악). 콘체르토 형식과 비슷하게 두 명의 솔로 혹은 솔로와 합창 등 두 그룹이 서로 '대화하는 방식'의 음악을 디알로그라 했다. 이는 17세기에 사용된 용어이다. 바…
디에스 이레(라. dies irae)라틴어로 ‘분노의 날’을 뜻함. 장례미사(레퀴엠) 중의 세쿠엔치아를 가리킨다. 오늘날 널리 퍼져있는 이 가사형태는 13세기에 이태리 프란체스코 수도원에서 그리고 1570년에는 로마 카톨릭의 미사집에 수용되었다. 디에스 이레는 교회예전…
디에트로(이.dietro)뒤로, 뒤쪽으로 
디오니지쉬(도.dionysisch) 디오니스적으로, 무절제하게
disinvolto (이. 디진볼토)구속되지 않은
disinvoltura (con) (이. 디진볼투라)구속되지 않게
디코닝(영. deaconing). (deaconing, 따라부르기)17-18세기에 미국과 영국 교회에서 행해진 것으로 개신교의 시편과 찬송을 성직자나 혹은 선창자가 먼저 낭독하고 회중이 따라 부르는 방식을 말한다. 이 말은 라틴어 diaconus에서 유래한 것으로 &l…
저자 : 한국음악연구소등록일자 : 초기자료디털하프(영.dital harp) 1819년 라이트(Edward Light)에 의해 만들어진 하프의 일종으로 류트와 비슷한 울림통을 가지며 단추를 이용해 각 현들의 음정을 반음씩 조절할 수 있다. 디털하프
디토누스(라. ditonus)고대 그리스 때부터 사용된 명칭으로서 두개의 온음으로 구성된 음정을 일컫는다. 81:64의 숫적 비율을 가지며 (피타고라스적) 장3도를 가리킨다. 온음 2개의 음정이 디토누스라면 온음 3개의 음정(증4도)은 트리토누스(tritonus)라 불…
저자: 한국음악연구소등록일자 : 초기자료디튀람보스 [dithyrambos]디튀람보스(그. dithyrambos) 그리스의 신 디오니소스의 제사에 사용된 노래. 기원전 7세기에 처음으로 나타났으며, 아울로스나 바르비톤이 반주하는 합창음악 또는 춤곡이었다. 기원전 4…
식스투스 디트리히[Sixtus Dietrich 또는 Sixt(us) Dietrich, Syxtus Dieterichus, Xystus (Xistus) Theodericus 그 밖에 약자로 S. D., 1493년경 독일 Augsburg 출생, 1548년10월 21일 스위…
디페렌시아(스. diferencia, 뜻: 다른 것, 영. difference와 같은 의미). 16세기 스페인의 기악음악에서의 변주곡. 노래 선율이나 오스티나토 베이스를 사용하여 변주하여 모음곡을 형성한다. 오늘날에는 변주곡과 같이 주제를 첫 머리에 제시할 수도 있고 …
디페렌치에(라. differentiae 복수, differentia 단수, 도. Differenzen, 영. difference와 같은 말, 뜻: 차이나는 부분). 그레고리오 성가에서 시편의 시행이 노래된 후에 시편에 대립되는 선율인 안티폰이 이어질 때 시편시행의 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