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625개. 60 페이지
로르칭(Albert Lortzing, 1801 베를린-1851 베를린)독일의 오페라 작곡가. 양친은 유랑극단 배우였으며. 그는 정규적인 음악수업은 받지 못했으나 극장에서 일하면서 음악적 실습을 익히게 되었다. 어릴 때부터 여러 악기들을 다루면서 무대에 서기 시작했다. …
로만스(프.영. romance, 도. Romanze). 로만스는 12세기 후반에 민속적인 로만어(라틴어 계통의 언어: 이탈리아·스페인·프랑스·포르투칼·루마니아어 및 그 방언)를 식자층의 언어인 라틴어와 구별하여 부르는 말이었다. 문학적인 용어로서 이 말은 당시…
romantisch (도. 로만티쉬)낭만적인
romantico (이. 로만티코)낭만적인
rovente (이. 로벤테)작열하는
robusto (이. 로부스토)강력한
losschnellend (도. 로스쉬넬렌트)돌연히 뛰어오르는
로우(영.low)작은 소리로, 낮은 소리로 
leuchtend (도. 로이스텐트)밝은
loco (라) / al luogo (이. )원위치에서, 원위치로. 옥타브 이동 후에 다시 정상위치로 돌아가기.
로코(이.roco) 목쉰 소리로, 거칠게
로코코(이.rococo): '무거운' 바로크에 비유되어 '가볍고 우아하다"는 뜻. 전고전주의 시대의 음악 중 섬세한 경향을 드러내는 음악들을 로코코 양식이라 일컫는 경우가 많다.
로크리아 선법(영. locrian mode, 도. lokrische Tonart)그리스 부족의 이름을 딴 교회선법의 하나로 b음을 기본음으로 한다. 이 선법은 고대나 중세의 음악이론서에 언급되기는 하지만 실제에서는 f와 b음 사이의 긴장적인 증4도 음정으로 인해 전혀 …
rotondo / rondo (이. 로톤도 / 론도)둥근
론도(이.rondo)바로크 시대의 롱도(Rondeau)는 프랑스적 현상이었다. 롱도는 주로 클라브생(쳄발로) 음악에 나타나지만 륄리의 오페라에서 기악곡으로도 작곡되었다. 여기에서 론도는 르프랭(Refrain), 쿠플레1(Couplet), 르프랭, 쿠플레2, 르프랭의 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