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2개. 1 페이지
에르(프.Air)(1) 일반적인 단어로 “노래”를 뜻한다.(2) 라모의 오페라에서 나오는 짧고 무곡적인 노래.(3) 모음곡에서 무용곡 같지 않은, 선율성이 높은 음악, 흔히 장식음을 많이 가진다.
샹송(프. chanson은  라. cantio로부터 파생) 프랑스어 "샹송"이란 우리말의 "노래"와 거의 같은 뜻으로 사용되는 매우 일반적인 말이다. 따라서 이를 어떤 음악용어라고 의식하지 않고 다양하게 사용하는 경우들이 많다. 음악용어로 사용할 경우…
라이제(중세 도. Leise)중세 독일의 민속적 성가로서 끝에 "키리에 엘레이손"의 가사가 붙어 있다. 헬라어 Kyrie eleison으로부터 독일어Kirleis가 나왔으며, 뒷부분만 남아 leis라는 명칭으로 불리게 된다. 가사내용은 전투, 십자군, 순례에 관한 것들…
발라드(프.Ballade 프. "춤추다"라는 뜻의 balar로부터 유래 ).1.간단한 설명(1) 13세기경 중세때 단성으로 불리우던 민속적 노래로 그 형식은 프랑스 중세 음유시인들 이었던 투르바두르와 투르베르에서 유래함. 발라드는 주로 장절형식으로  선창자와 …
오르가눔(라.organum). <간단한 설명>다성음악이 최초로 기록된 것은 9세기부터이며 13세기 중엽까지 발전한다. 그 이후 서서히 다성음악으로의 전환이 시작된다. 가장 오래 된 다성음악은 오르간 악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오르가눔이라고 …
저자: 한국음악연구소등록일자 : 초기자료아리엣타(이. arietta)작은 아리아. 17-18세기 이태리 오페라에 나타난 짧고, 단순하고, 2부형식의 서정적 아리아(예: Ziani, Draghi). 한편 란디의 Il Sant′Alessio(1634)에서와 같이 아리아의 …
저자: 한국음악연구소등록일자 : 초기자료디알로그 [Dialogue]디알로그(도. Dialogue, 대화음악). 콘체르토 형식과 비슷하게 두 명의 솔로 혹은 솔로와 합창 등 두 그룹이 서로 '대화하는 방식'의 음악을 디알로그라 했다. 이는 17세기에 사용된 용어이다. 바…
타게리트(도.Tagelied)대부분 3절로 이루어진 서정적인 성격의 중세 독일어 노래로서, 밤을 함께 보낸 두 애인이 이별하는 것(대부분 대화체로 쓰여짐)을 묘사하는 노래이다. 한 중요한 특별형식으로서는 ‘새벽의 노래’(Wächterlied)가 있는데, 여기에서는 빨리…
브린디시(이. brindisi). 19세기 이태리 오페라에서 술을 마시면서 부르는 노래. 대개 독창자와 합창이 응답하는 형태. 베르디의 , , 에서 예를 찾아 볼 수 있다.
비얀시코(프.villancico, 스. villano‘농부’라는 말로부터 파생)(1)현대적 의미: 기악반주의 민속적 성격의 성탄절 노래를 의미한다.  (2)르네쌍스 시대 스페인에서 가장 성행한 다성음악. 세속어(스페인어)로 된 가사에 주로 3-4성부의…
죄 파르티(프.jeu parti)프랑스어로 ‘분리된 연주’를 의미. 이것은 12/13세기의 프랑스 트루바도르와 트루베르 노래의 일종으로서, 두 가수 사이의 논쟁노래이다. 즉, 첫 번째 사람이 어떤 질문이나 주장을 하면, 두 번째 사람이 이를 응수하는 방식으로 전개되는데…
저자: 한국음악연구소등록일자 : 초기자료호프바이제 [Hofweise] 1500년경에 유행하였던 노래장르로서, 성격적으로 이전의 민네징거나 당시의 마이스터징거와 관련이 깊다. 구조적으로 호프바이제는 바르형식에 빈번히 기초하며, 반 구절(Halbvers)과 짧은 구절(K…
greghesca 베네치아의 빌라넬라. 가사는 베네치아의 방언과 그리스어가 혼합되어 있기에 그리스식 가사라는 의미로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노래 가사는 안토니오 몰리노(Antonio Mollino 또는 Manoli Blessi)가 썼다. 음악은 4성부에서 8성…
테노르 노래(도. Tenorlied)15-16세기의 독일의 노래형식으로서 주로 4성부로 이루어졌으며, 노래선율은 테너 성부에 위치한다. 여타의 다른 성부들은 움직임이 대부분 많고 기악적으로 고안되었으며 빈번히 테너(노래선율)의 각 부분들을 장식한다. 테노르 노래는 이러…
가쎈하우어(도. Gassenhauer, 뜻: 거리의 노래)가쎈하우어라는 개념은 16세기에 거리의 음악가를 의미하다가 후에 그들이 부르는 노래나 춤과 세레나데를 지칭하게된다. 18세기 후반 예술가곡이라는 개념이 등장하며 가쎈하우어라는 개념은 점차 사라지게 된다.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