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2 |
저자: 한국음악연구소등록일자 : 초기자료셔플 [Shuffle]스윙 음악에서 사용되는 삼연분음의 반주 리듬. 대략의 빠르기는 메트로놈으로 132-84에 달한다. 내림박을 강조하는 이 리듬은 활기를 고조시키기에 춤곡에 자주 사용된다. 리듬 앤 블루스와 로큰롤에서…
|
211 |
저자: 한국음악연구소등록일자 : 초기자료플리카 [plica]라틴어로 ‘주름’이란 뜻을 가지며, 모드 기보법이나 초기의 멘수라 기보법에서 사용된 장식음(일종의 꾸밈음)을 말한다. 롱가나 브레비스 같은 주요 음표 옆에 세로 선을 그어 표기했다. 예로서 아래로 그은 선은 꾸…
|
210 |
저자: 한국음악연구소등록일자 : 초기자료톰-톰 [tom-tom]탐-탐으로 발음될 수 있으나, tam-tam은 동아시아에서 유래한 공(매달아 놓은 징과 비슷함)을 지칭하기 때문에 구별하여 쓴다. 원래 라틴 아메리카의 무곡에서 사용되는 막울림악기의 일종. 원통 북 밑에 다…
|
209 |
저자: 한국음악연구소등록일자 : 초기자료노래, 중세의 (1). 여기에서 다루는 중세의 노래는 교회에서 부르는 성가를 제외한, 단성부의 세속음악이다. 그러나 자국어로 된 종교적인 노래와 예배에 부수적으로 쓰이는 노래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 중…
|
208 |
저자: 한국음악연구소등록일자 : 초기자료테트로 [tetro]
우울한
|
207 |
저자: 한국음악연구소등록일자 : 초기자료킨노르 [kinnor]
구약에 나오는 일종의 리라로서 시편노래를 반주했다. 종종 ‘다윗 왕의 악기’로 불리며 이 경우 음악 전반을 상징한다.
|
206 |
저자: 한국음악연구소등록일자 : 초기자료티모레 [timore]
두려워하며
|
205 |
저자: 한국음악연구소등록일자 : 초기자료파르티 [Partie]1. 17/18세기에 모음곡(Suite)을 일컬었다(일반적으로는 파르티타라고 함). 2. 프랑스어 파르티는 영어의 파트(part)처럼 성부를 가리킨다.3. 오페라나 오페레타 등에서 노래 역(役)을 의…
|
204 |
저자: 한국음악연구소등록일자 : 초기자료파솔라(영.fasola)
17-18세기에 영국과 미국에서 널리 사용되었던 계이름 창법. 16세기 말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솔파' 또는 ' 랭커셔 솔파'라고도 불린다. 파솔라는 귀도 다레쪼의 6음계(헥사코드)에 의한 솔미사…
|
203 |
저자: 한국음악연구소등록일자 : 초기자료힘나르 [hymnar]중세 때 성무일과의 찬미가들을 교회력과 축일의 순서에 따라 배열한 문헌을 말한다.
|
202 |
저자: 한국음악연구소등록일자 : 초기자료테나체 [tenace]
집요한, 완고한
|
201 |
저자: 한국음악연구소등록일자 : 초기자료스틴토 [stinto]
사라진
|
200 |
저자: 한국음악연구소등록일자 : 초기자료라멘토 [lamento]라멘토는 샤콘느적 베이스나 반음계적으로 하행하는 베이스진행(passus duriusculus), 또는 심한 불협화음과 같은 특별한 음악적인 수단을 이용하는 매우 표현적인 성격의 탄식음악 유형이다. 17/18…
|
199 |
저자: 한국음악연구소등록일자 : 초기자료키타라 [kithara]기원전 7세기부터 알려진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현악기이다. 키타라는 리라 종류에 속하며, 특히 7개의 현으로 이루어진, 그리고 대부분 채로 연주되는 악기를 가리킨다. 양옆의 지지대는 나무로 된 공명통과 연결…
|
198 |
저자: 한국음악연구소등록일자 : 초기자료콘소트 [consort]라틴어 consortium(“같이 어울리는 무리”)으로부터 나온 말로 추정된다. 16세기말-17세기 영국에서 일정한 기악 그룹을 지칭한 말. 4-6개의 연주자로 구성된 앙상블을 의미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