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교회음악
예수로 나의 구주 삼고(새288, 통204) [Blessed assurance, Jesus in mine]
4,008회

예수로 나의 구주 삼고(새288, 통204)

Blessed assurance, Jesus in mine


작사: 화니 제인 크로스비(Fanny Jane Crosby, 1820~1915)

작곡 : 푀브 팔머 냅(Phoebe Palmer Knapp, 1839~1908)


이 찬송시의 작사가는 그 유명한 크로스비 여사이다. 그녀에 대해서는 통일찬송가 43장에서 이미 약술되었지만 좀 더 소개하기로 한다. 그녀가 생후 6개월 만에 열병치료를 잘못 받아 그 후 95세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장님이었던 것은 다 알려진 사실이다. 프랜시스 제인(Frances Jane)은 그녀의 세례명이다. 크로스비의 부친은 그녀가 태어난지 일 년도 채 안되어 세상을 떠났다. 크로스비는 15세에 뉴욕의 맹인학교에 들어갔는데 이때부터 그녀의 비범한 시작(詩作) 재능은 소문이 나기 시작했고 대외적인 행사나 기념일에 쓰여진 그녀의 시들은 호평을 받았다. 이 사실이 뉴욕 타임즈에 기사화되자 많은 작곡가들이 크로스비에게 작사를 요청하기 시작했다.

남북전쟁 시 군가 작사, 작곡으로 명성을 떨친 조지 루트(George Root, 통일찬송가 152장의 해설 참조)는 뉴욕의 머서 街(Mercer Street)의 “나그네 교회”(Church of the Stranger)의 반주자 겸 유니온 신학교의 음악교수였는데 크로스비의 소식을 듣게 되었고 그녀에게 부탁하여 “꽃 여왕”(The Flower Queen)이라는 자유시 한편을 작사하게 하였다. 루트가 그 가사에 곡을 붙인 것은 크게 성공했으며 그 곡은 크로스비가 32세 되던 해인 1852년에 처음으로 출판되었다. 1858년, 그녀는 38세 때 같은 맹인학교 교사인 맹인학자이며 음악가인 알렉산더 반 알스타인(Alexander Van Alstyne)과 결혼했으며 평생을 서로 격려하고 돕는 좋은 반려자로 살았다.

크로스비가 처음으로 찬송시를 작시한 것은 44세 되던 때였다. 1864년 2월 5일, 유명한 작곡가 윌리엄 브래드버리(통일찬송가 47장 해설을 참조할 것)가 크로스비에게 찾아와 자신이 작곡한 곡에 붙일 찬송시를 작시해 달라고 부탁했다. 크로스비에게 있어서 브래드버리의 방문과 청탁은 엄청난 감격이었다. 당대에 가장 유명한 대가요 거장인 찬송가 작곡가가 친히 찾아와 자기에게 가사를 부탁하리라고는 꿈에도 생각지 못했던 것이다. 그렇게 시작한 찬송시 작시는 그녀가 세상을 떠난 1915년까지 거의 8000여수에 달하게 되었던 것이다.

크로스비가 53세 되던 해인 1873년에 그녀는 한 친구를 사귀게 되었다, 그 여자는 메트로폴리탄 생명보험회사의 설립자이자 초대 사장이며 당시 굴지의 백만장자였던 조셉 냅(Josept Knapp)의 부인인 푀브 팔머 냅 여사였다(통일찬송가 200장의 해설을 참조할 것). 냅 부인은 아마추어 작곡가로서 음악적 재능을 아마추어 이상으로 발휘하면서 많은 가난한 자들을 구제하며 살던 상류사회의 여인이었다.

1864년 브래드버리가 크로스비에게 찾아와 부탁했던 것처럼 냅 부인이 크로스비를 찾아와 자신이 이미 작곡한 곡에 맞는 찬송시 하나를 달라고 요청했다. 당시에는 찬송시를 놓고 곡을 작곡하기도 했으나 대체로 곡이 먼저 작곡되고 후에 지어진 가사들 중에서 골라 맞춰 부르는 경우가 많았다. 그렇게 만들어진 여러 곡 중에서 호흡과 음절이 가장 잘 많아 널리 불리게 되면 그 찬송시의 곡조로 확정되는 것이 관례였다. 냅 부인은 크로스비에게 자신의 곡을 피아노로 쳐서 들려주었고 크로스비는 그 곡을 듣고는 지난밤 히브리서10:22의 본문말씀으로 설교를 한 목사님의 메시지가 떠올라 즉시 가사를 써서 냅 부인에게 건넸는데 그 찬송시가 바로 위의 찬송시이다.


(작품분석)

이 찬송가는 9/8박자의 16마디로 이루어졌다. 전체는 두마디단위의 프레이즈들에 기초하며, 이들 프레이즈는 모두 윗박적으로 시작한다. 윗박적 8분음들은 프레이즈마다 선율적으로 차이를 보여, 예로서 마디 1과 5, 7, 13, 15의 윗박적 음들은 순차적으로 상행하거나 하행하는 반면, 마디 3의 윗박적 선율은 분산화성적으로 진행한다. 그런가 하면 후렴 첫 번째 단의 윗박적 선율은 같은 음을 반복하는 식으로 전개된다. 선율적으로 마디 1-2는 마디 5-6에서, 그리고 마디 7-8은 마디 15-16에서 반복된다. 그런가 하면 마디 9-10은 마디 13-14에서 그리고 마디 3-4는 분명치는 않지만 마디 11-12에서 변형 반복된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본 단락과 후렴은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것이다. 프레이즈의 반복에서 눈에 띄는 것은 마디 7의 8분음들(“누리도”)이 마디 15에서 붓점적 리듬(“하리로”)으로 바뀌는 것인데, 이는 마디 15의 종지적 성격을 보다 분명히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음악적 절정은 윗박적 최고음인 e’’음과 함께 마디 13에 위치한다. 이를 위해 후렴의 두 프레이즈에서는 음악적 긴장이 점점 고조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등록일자: 2011. 1. 11

문영탁/나진규

목록